2025년 청년 도약 계좌가 혜택이 더 좋아졌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는 신청자격을 가지고 계신분이라면 누구나 신청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 청년 도약 계좌를 개설하실 수 있다면 월 70만원이내로 자유적금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청년 도약 계좌의 추가입금에 대해 선택안함/ 가산함/ 가산안함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어려움을 가지시는 분이 많습니다.
우리은행 앱 또는 사이트를 통해서 본인이 받을 수 있는 정확한 청년 도약 계좌의 우대금리와 혜택을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목차
우리은행 청년 도약 계좌 자동이체
우리은행 청년 도약 계좌는 우대 금리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통장 개설 시작부터 만기해지 시점까지 적금 자동이체 유지가 필수입니다.
우리은행 청년 도약 계좌의 자동이체 주의 사항으로는 본인이 계좌개설한 날의 5년 만기인 해지 시점까지 기간을 설정을 해둬야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자동이체 처리는 1회 이상만 되어있으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추후 자동 이체 날짜의 변경 또는 금액 변경은 상관이 없으나, 자세한 내용은 우리 은행 고객 센터를 통해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청년 도약 계좌 자동이체는 우리은행 앱에서 하실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우리 은행 고객센터나 앱을 통해서 확인 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때 청년 도약 계좌를 개설하신 분이라면 자동이체 외에 월 70만원 이내로 추가 입금하실 수 있으며 자세한 우리은행 청년 도약 계좌 추가 입금 (가산함)은 아래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우리은행 청년 도약 가산함 (추가 입금)
우리은행 청년 도약 계좌는 자유적금이므로 월 70만원 이내로 추가 입금이 가능합니다. 우리은행 앱을 통해 추가 입금을 하실 경우 선택 사항에 선택안함/ 가산함/ 가산안함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위에 선택 사항은 수기로 자동이체를 하는 방법을 말하며 가산함으로 선택한 경우 추가납입을 수기로 자동 이체로 처리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가산함을 선택한 경우 미리 걸어놓은 자동 이체 날짜 이전에 수기로 자동이체로 추가 납입을 하실 수 있습니다.
미리 걸어놓은 자동 이체 날짜 이전에 추가 입금이 얼마가 되던 간에 추후에 해당 월에 미리 신청한 자동 이체가 입금되지 않습니다.
<가산함을 선택해야하는 경우> |
해당 월에 자동이체가 되지 않은 경우 |
해당 월에 자동이체 전에 최대70만원을 다 미리 납부하는 경우 |
우리은행 청년 도약 계좌의 추가 입금은 우리 은행 앱에서 하실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우리 은행 고객센터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우리은행 청년 도약 계좌 추가 입금 (가산안함)은 아래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우리은행 청년 도약 가산안함 (추가 입금)
가산안함으로 선택한 경우 추가납입을 수기로 자동 이체로 처리로 하지 않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가산안함을 선택한 경우 미리 걸어놓은 자동 이체 날짜 이전 이나 이후에 수기로 추가 납입을 하실 수 있습니다.
미리 걸어놓은 자동 이체 날짜 이전에 추가 입금과 추후에 해당 월에 미리 신청한 자동 이체가 둘다 가능하게 됩니다.
<가산안함을 선택해야하는 경우> |
해당 월에 자동이체 이후에 추가 입금하는 경우 |
자동이체 이전에 미리 추가 입금 + 해당 월에 신청해둔 자동이체 |
우리은행 청년 도약 계좌의 추가 입금은 우리 은행 어플을 통해서 하실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우리 은행 사이트 또는 우리 은행 고객센터를 통해서 확인 하시길 바랍니다.
청년 도약 계좌 란?
매월 70만원 한도내에서 5년간 자유적금으로 납입하면 최대 약 5천 만원을 적립할 수 있는 정부 금융 상품입니다.
가입자 소득에 따라 납입액의 최대 월 33000원 까지 정부 지원이 가능하며 본인 납입 금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와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이며, 이후 2년은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청년 도약 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신청자격 조건이 충족되어야하므로 사업 신청 기간에 취급은행의 어플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은행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청년 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경기도 청년지원금(경기도 청년 기본소득) 신청방법 (0) | 2025.02.21 |
---|---|
청년 취업 지원 제도 조회 (0) | 2025.02.20 |